본문 바로가기

기업교육/업무역량강화

일과 삶의 균형, '워라밸' 중시 조직문화가 뜬다

취업준비생들이 가장 많이 하는 거짓말 1위가 뭘까요?

바로 '야근·주말근무 기꺼이 해야죠' 입니다. 이러한 사실을 뒤집어 보면, '야근과 주말근무를 하지 않는 회사'에 취업하고 싶은 그들의 희망사항이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취업을 하더라도 10명 중 8명이 야근 스트레스로 인해 이직을 고민한다는 조사결과가 발표되어 적잖은 충격을 줬습니다.

 

지난 7월 1일부로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되었습니다. 주당 최대 근무 시간이 52시간으로 단축된 것인데요. 2004년 주 5일제 시행이후 또 한 번의 진일보한 흐름이 아닐 수 없습니다. 

                            

                                주52시간 근무제 시행을 위한 'Smart Work' 강의를 하고 있는 마크리더컨설팅 김상목 대표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이후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 일과 삶의 균형)', 소확행(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 저녁이 있는 삶 등이 주요 키워드로 등장했습니다. 이들 키워드에서 그동안 우리나라 국민들 대다수가 일이 우선시 되고 그로 인해 가정의 행복과 자신의 삶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취급된 상황에 오랫동안 익숙해져 왔음을 유추해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워라밸을 찾고자 하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 사회에 노동시간과 개인의 삶 사이의 무게중심이 후자로 이동하고 있다는 것일텐데요.

 

주요 선진국들은 이미 워라밸 문화가 깊게 뿌리내려 있습니다. 짧은 노동시간에 비해 업무 집중도는 더 높아 결과적으로 업무 효율성은 높이는 업무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퇴근 후 가족과 시간을 보내는 시간이 더 많아져 삶에 대한 행복도와 만족도가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워라밸이 생활화된 덴마크의 경우, 오전 8시에 출근해서 오후 3~4시가 되면 퇴근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요. 일하는 동안에는 오롯이 일에만 집중하며, 일찍 퇴근하기 위해서 점심도 간편하게 해결하고 다시 업무를 본다고 합니다. 그만큼 업무 집중도가 높은만큼 효율성 또한 높을 수밖에 없겠죠. 참고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에 따르면, 덴마크의 연간 노동시간은 1416시간으로 한국(2052시간)보다 월등히 낮습니다.

 

 우리나라 정부 또한 노동시간 단축으로 국민들이 저녁이 있는 삶을 누리고 야근 등으로 인한 과로에서 벗어나 노동생산성 향상을 꾀하고자 주 52시간 근무제를 도입한 것인데요.

 

독일이 '라인강의 기적'을 이뤘듯이, 우리나라는 '한강의 기적'을 이뤄냈죠. 올해 국내총생산(GDP)은 1조6932억 달러로 세계 12위를 기록하고 국민소득도 3만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삶의 질을 개선하려면 여전히 갈 길이 멀게만 느껴집니다. 희망적인 것은 올해 시행된 주 52시간 근무제가 삶의 질 개선의 신호탄이 될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직장에서 불필요한 회의로 허비되는 시간을 최대한 줄여서 가장 효율적인 회의, 가장 생산성 있는 회의를 해야 할 것입니다. 여전히 회의를 의무적으로 하고 있진 않습니까? 여전히 OECD 국가들 평균(1707시간) 보다 연간 500시간 더 일하는 대한민국. 멕시코(2348시간) 다음으로 노동시간이 긴 나라로 악명이 높습니다.

  

회의를 효율적으로 하는 것만으로도 불필요한 시간을 줄여 업무 효율성과 업무 집중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업무 집중도와 효율성이 높아지면 야근할 필요가 없습니다. 워라밸을 중시하는 조직문화일수록 조직과 회사에 대한 충성도가 높아지며, 업무에 대한 만족도가 상승합니다.

 

회의를 회의답게 하는 방법, 회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 회의 컨설팅 전문기업 마크리더컨설팅이 현장에서 수행하고 있습니다.

                                 

                                        수원 반도체장비회사 'smart work' 임원/팀장교육 실습현장